1926년 7월 8일서울청년회와 조선물산장려회가 중심이 되어 발기한 민족협동전선단체. 1926년 초 한국 사회 공산주의 진영은 크게 보아 4단체합동위원회(화요회·북풍회·조선노동당·조선무산자동맹의 합동 단체로, 사실상 조선공산당 표면의 단체이다.)와 전진회(前進會 : 서울청년회의 사상단체)의 두 갈래로 나뉘어 있었다. 이 중 전진회는 1926년 3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결성된 민족당주비회(民族黨籌備會)에 참여하였다. 민족당주비회는 국민대표회의에서 창조파의 형성을 둘러싸고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과 상해(上海) 고려공산당이 동일한 운동노선을 취함으로써 생겨난 조직적 연계성을 바탕으로 결성될 수 있었다. 이 민족당주비회는 상해임시정부의 창조파 일부, 이르쿠츠크파, 상해파 일부, 신민부(新民府) 일파, 독자적 세력인 김경천(金擎天)·김규식(金奎植) 등의 연합이었다. 민족당주비회 인물들은 국내 운동세력과의 연합도 꾀하였는데, 여기에 참여하게 된 것이 전진회였다. 전진회에서는 김영만(金榮萬)·최창익(崔昌益)을 파견하여 민족당주비회의 결성에 깊숙이 관여하였다. 따라서 서울청년회는 민족당주비회를 통해 해외의 민족해방 투쟁세력과 연관을 가지게 되었고, 자연히 이에 대응되는 국내의 협동전선을 위한 조직적 강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서울청년회는 민족당주비회와의 일정한 관계 아래 조선민흥회의 조직에 착수하였다. 그런데 민족당주비회는 코민테른의 승인을 받아 성립된 단체이므로 조선민흥회의 발기 역시 코민테른의 영향이 어느 정도는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코민테른 제4회대회(1922.11.5∼1922.12.5)에서 채택된 ‘동양 문제에 관한 일반적 테제’는 최초의 반제(反帝)·반봉건(反封建) 연합전선을 제시하였지만 민족혁명의 수행과 계급적 독자성을 동시의 과제로 요구하였다. 그러나 1925년에 발표된 코민테른의 ‘한국 문제에 대한 의정서’에서는 ‘중국의 국민당과 같은 민족적 혁명당을 건설할 것’과 ‘이 임무는 공산당의 명의로 할 필요가 없는 조선의 독립 획득이라는 슬로건 밑에서 행해질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따라서 조선민흥회의 발기에는 한국 내의 민족협동전선 결성에 대한 열망과 움직임, 해외민족유일당운동, 코민테른 노선 변화라는 세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조선민흥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