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전개과정
1947년 3월 1일 제주읍 관덕정에서 열린 3⋅1절 28돌 기념 집회에서 경찰이 집회에 참석한 군중을 향해 발포하여 6명의 희생자를 내는 등, 공권력에 의한 폭력 진압으로 비롯되었다. 제주도민들은 이에 격렬히 반발하여 총파업에 돌입하였고, 미군정과 경찰, 극우 청년단체가 강경 대응에 나서면서 수많은 사람이 희생당하였다.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남로당의 주도 하에 ‘총선거 반대’와 ‘남북 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무장 봉기가 발생하였다.

그 뒤 남한에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북한 정부가 세워짐에 따라 제주도 사태는 단순한 지역 문제를 뛰어 넘어 정권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이승만 정부는 1948년 10월 11일 제주도 경비 사령부를 설치하고 본토의 군 병력을 제주에 증파시켰다. 그렇지만 제주도 진압 차출을 거부하 좌익 성향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사건(여순 사건)이 발생하면서 사태는 걷잡을 수 없게 악화되었고, 군 내에서 대거 숙군이 진행되었다.

1948년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그리고 이를 전후로 1949년 2월까지 중산간 마을을 초토화 시키는 강경 진압 작전이 전개되어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였다.

1949년 6월 무장대 사령관 이덕구가 사살됨으로써 무장대는 사실상 궤멸되었다. 그러나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보도연맹 가입자, 요시찰자, 입산자 가족 등이 ‘예비검속’이라는 이름으로 붙잡혀 집단으로 희생되었다. 또 전국 각지 형무소에 수감되었던 4·3사건 관련자들도 즉결처분되었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禁足)지역이 전면 개방되면서 1947년 3·1절 발포사건과 1948년 4·3 무장봉기로 촉발되었던 제주 4·3사건은 7년 7개월 만에 비로소 막을 내리게 된다.

제주 4·3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