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년 만주 통화(通化)에서 조직되었던 자치기관. 1911년경학사(耕學社)가 대흉년으로 해산되자, 1912년이상룡(李相龍) 등이 재만한인의 복리증진, 자활대책의 강구, 자녀교육, 애국청년의 군사훈련, 독립운동기지 조성 등을 목표로 조직하였다. 통화현 합니하(哈?河)에 본부를 두고 단장 허혁(許赫), 부단장 김동삼(金東三), 서무 김형식(金衡植), 유서단총(柳西團總) 방기전(方基甸), 유동단총(柳東團總) 황병문(黃炳文), 통동단총(通東團總) 최명수(崔明洙), 통서단총(通西團總) 최여명(崔汝明), 흥동단총(興東團總) 김진호(金鎭浩)를 선임하여 중앙 조직을 구성하였다. 이어 3단계로 나눠 지방조직을 결성하였다. 즉 10호(戶), 100호, 1,000호를 기준으로 패(牌)·구(區)·지방으로 나누고, 패에는 패장(牌長) 또는 십가장(十家長) 1인을 두고, 구에는 구장 또는 백가장(百家長) 1인을 두었으며, 지방에는 천가장(千家長) 1인을 두었다. 이와 같이 조직을 정비하고 대표자대회를 개최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결의하였다. ① 부민단을 정부의 기능을 가진 보다 넓은 범위를 의미하는 ‘부민회(扶民會)’로 고칠 것, ② 동포간의 소송사건을 담당할 검찰과 사판제도(査判制度)를 둘 것. ③ 각 지방의 교육기관은 해당 지방의 능력에 맡기고 군사간부 양성기구인 신흥학교(新興學校)의 경비는 일체 본기관에서 책임질 것 ④ 흉작과 인명손실을 극복하고 조국광복의 달성에 매진할 것 등이었다. 이에 부민회로 개명하는 한편, 부서를 확충하여 회장에 이상룡, 부회장에 이탁(李?), 의사부장(議事部長)에 김동삼, 재무부장에 안동식(安東植), 학무부장에 양규열(梁圭烈), 검무감(檢務監)에 최명수, 사판장(査判長)에 이진산(李震山), 검독(檢督)에 성인호(成仁浩), 중앙검찰에 김형식·남정섭(南正燮) 등을 선임하였다. 그리고 각 지방에는 총관(總管)을 두어 자치행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유서·유동·흥동총관은 이전의 단총이 유임되고 통동총관에 최여명, 통서총관에 한규석(韓奎錫), 해남총관에 성태영(成泰永), 흥서총관에 이봉규(李鳳奎)가 선임되었으며, 그 밖에 해북총관 등이 있었다. 1919년까지 자활과 교육사업에 주력하여 수십만의 이주교민을 보호하고 수천 명의 애국청년을 양성함으로써 독립운동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그 해 4월 유하(柳河)·통화·흥경(興京)·환인(桓仁)·집안(集安) 등지의 한인 지도자들이 모여, 남만주의 독립운동의 총본영인 군정부를 조직하기로 결의하고, 자치기관인 한족회(韓族會)로 발전적 개편을 이룩하였다.

부민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