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7년(세조 13)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이시애가 일으킨 반란. 세조는 난을 계기로 북도 유향소(留鄕所)를 폐지하고 함길도를 좌·우도로 나누어 통치책을 강화하는 동시에, 반란의 근거지가 되었던 길주는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시켰다.
이시애는 길주 출신으로, 함길도를 근거로 한 호족 토반(土班)이었다. 원래 함길도는 조선의 왕실 발상지였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북방 이민족과 접해 있는 특수 사정을 고려해 지방관은 인망 있는 호족 중에서 임명해 대대로 다스리게 하였다. 그리고 남방의 백성을 이주시켜 여진세력을 꺾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왕권을 장악한 세조는 중앙집권 체제 강화의 일환으로 북도 출신의 수령을 점차 줄이고 서울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하였다. 이러한 집권책은 북도인의 불만을 샀다.
호패법(號牌法)을 더욱 강화해 지방민의 이주를 금하자 북도의 호족들은 그들의 세력 아래 있는 백성들이 본고장으로 돌아가는 것을 두려워해 불만이 누적되었다. 이시애는 불만에 찬 북도의 호족이나 도민의 세력을 집약해, 관직에서 물러나 있는 동안 조직화하고 민심을 선동하였다.
즉, 그의 아우 시합(施合) 등과 더불어 “하삼도(下三道) 군병이 수륙으로 함길도로 진격하고 있다. 충청도 군병이 배를 타고 경성·후라도(厚羅島)에 와서 정박하고 있다. 조정에서 평안도와 황해도 병사를 보내어 설한령(薛罕嶺, 雪寒嶺)으로부터 북도에 들어와 장차 본도 사람들을 모두 죽이려 한다.”는 등의 유언비어를 퍼뜨려 민심을 자기 쪽으로 이끌면서, 1467년 5월초에 길주에 와 있던 함길도절도사 강효문(康孝文)을 베고 길주를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다.
난이 진정됨에 따라 세조의 집권책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