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구소
- 가도사건
- 가사(歌詞)
- 가쓰라 태프트 밀약
- 가체 금지
- 각염법 제정
- 간도공산당사건
- 간도 참변
- 간도 협약
- 간호부양성소
- 간화선
- 감문위
- 감자의 전래
- 갑산파
- 갑술환국
- 갑신정변
- 갑오개혁
- 갑인예송
- 갑자사화
- 강동성전투
- 강동6주 획득
- 강빈_옥사
- 강상인의_옥
- 강제징용
- 강조의정변
- 강화도 조약
- 강화도 돈대의 축조
- 강화도 천도
- 강화학파
- 강화 천도
- 강희맹사안(姜希孟事案)
- 개간회사
- 개경 환도
- 개벽 창간
- 개정군
- 개정전시과시행
- 개항
- 개화파
- 객주
- 객주조합
- 거란의 제1차 고려 침입
- 거란의 제2차 고려 침입
- 거란의 제3차 고려 침입
- 거문도 불법 점령
- 건저_문제
- 건주여진_정벌
- 겁령구
- 겁설관
- 결혼도감
- 경강상인
- 경국대전
- 경기금융조합
- 경남금융조합
- 경리국
- 경리청
- 경리청 설치
- 경모궁 건립
- 경무총감부
- 경방단
- 경복궁중건
- 경부선 개통
- 경북유림단
- 경성방송국 개국
- 경성일보 창간
- 경신대기근
- 경신박해
- 경신환국
- 경원선 개통
- 경의선 개통
- 경인선 개통
- 경정전시과시행
- 경주별초군의난
- 경희궁 중건
- 계미삼찬(癸未三竄)
- 계성사 건립
- 계유정난
- 계축옥사
- 계해약조
- 고구려·당 전쟁
- 고구려·수 전쟁
- 고구려당 안시성 전투(645)
- 고구려부여 전쟁(기원전6)
- 고구려부흥운동(670)
- 고구려의 평양 천도
- 고구려 멸망(668)
- 고구려 율령 반포(373)
- 고구려 진대법 실시(194)
- 고구려 5부
- 고구마 전래
- 고려공산청년회
- 고려국유학제거사
- 고려의칭제건원
- 고려 건국(918)
- 고려 공산당
- 고부민란
- 고종 친정 선포
- 고창전투
- 고추의 유입
- 곡산민란
- 공녀
- 공노비
- 공노비 해방
- 공도정책
- 공립협회
- 공명첩 발급
- 공민왕시해사건
- 공법
- 공법의_실시
- 공법
- 공산전투
- 공음전
- 공인
- 공주 농민봉기
- 공진회
- 공해전 제도 시행
- 과거제도실시
- 과전법
- 과전법실시
- 곽사원의언송사건(郭嗣源─堰訟事件)
- 관동학회
-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 관성 농민봉기
- 관음포전투
- 관찰사
- 관학파
- 광개토왕의 백제 원정(396)
- 광개토왕의 임나가라 원정(400)
- 광군
- 광무개혁
- 광무학교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광평성
- 광학보
- 광혜원
- 광흥창
- 교남학회
- 교영계 역모사건
- 교정도감
- 교조신원운동
- 구미위원부
- 구분전
- 구세군
- 구황작물의 유입
- 국가 총동원법
- 국권회복단
- 국민당
- 국민대표회의
- 국민부
-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
- 국민총력 조선연맹
- 국서개작사건
- 국신도감
- 국자감
- 국자감시
- 국제연맹
- 국제적십자사연맹
- 국채보상운동
- 국채보상회
- 국학
- 국혼정례 제정
- 군대 해산
- 궁내부
- 궁녀
- 권농윤음
- 권업회
- 귀주대첩
- 규장각
- 균역법
- 균전사 파견
- 극예술연구회
- 근로보국대
- 근우회
- 금관가야 건국(42)
- 금관가야 멸망(532)
- 금난전권
- 금성전투
- 금오대
- 금위영
- 금위영 설치
- 금융조합
- 금주령 실시
- 금주잡족의난
- 기기창
- 기로회
- 기묘과옥
- 기묘사화
- 기사환국
- 기유약조
- 기인제도시행
- 기축옥사
- 기해박해
- 기해예송
- 기호학교
- 기호학파
- 기호학회
- 기호 흥학회
- 긴급 조치 9호
- 김보당의난
- 김사미와 효심의 난
- 김자점의_옥
- 김헌창의 난(822)
- 김훈·최질의난
- 김흠돌의 난
- 나경언_고변_사건
- 나당동맹 성립(648)
- 나선 정벌
- 나주괘서사건
- 낙사시사
- 난장의 금지
- 남경개창도감
- 남경 설치
- 남당
- 남묘 건립
- 남반
- 남연군묘 도굴
- 남이옥사
- 남인
- 남한대토벌작전
- 남한산성 축성
- 내봉성
- 내사문하성
- 내성
- 내시
- 내시교관 폐지
- 내의성
- 내장원
- 노량해전
- 노론
- 노비
- 노비안검법
- 노비종모법의 실시
- 녹과전
- 녹기연맹
- 녹둔도_사건
- 농사직설
- 농촌진흥운동
- 단군교
- 단발령
- 단성 농민봉기
- 담배의 유입
- 대가야 멸망(562)
- 대동교
- 대동권번
- 대동법
- 대동법실시
- 대동보국단
- 대동사문회
- 대동청년당
- 대동학회
- 대마도정벌
- 대보단설치
- 대북
- 대성학교
- 대위국
- 대전통편 편찬
- 대정실업친목회
- 대조선 국민 군단
- 대조선독립단
- 대종교
- 대한광복단
- 대한 광복회
- 대한국국제 반포
- 대한국민의회
- 대한노인단
- 대한독립단
- 대한매일신보 창간
- 대한민국 건국 강령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애국부인회
- 대한인 국민회
- 대한천일은행
- 대한철도회사
- 대한 독립군
- 대한 자강회
- 대한 협회
- 대화숙
- 대흥전투
- 도고
- 도당
- 도방
- 도병마사
- 도첨의사사
- 도첩제
- 도평의사사
- 독립신문사
- 독립협회
- 독립 신문 창간
- 독립 의군부
- 동경민란
- 동국여지승람
- 동녕부
- 동녕부 정벌
- 동묘 건립
- 동민회
- 동아일보 창간
- 동양 척식 주식회사
- 동제사
- 동지회
- 동창학교
- 동학의_창도
- 동학 농민 운동
- 두레
- 러·일 전쟁
- 러시아와 통상조약
- 만동묘 건립
- 만민 공동회
- 만보산 사건
- 만부교사건
- 만불향도
- 만세보 창간
- 만적의난
- 만적의 난
- 만주사변
- 망이·망소이의 난
- 매일신문사
- 매일신보사
- 매일신보 창간
- 명동서숙
- 명량해전
- 명사살해사건
- 명월관
- 명주전투
- 명화적의 발생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 목호의난
- 몽골의 고려 침입
- 원과 고려의 일본 원정
- 무반
- 무신정변
- 무오사화
- 무오정변
- 무진정변
- 문묘 배향
- 문반
- 문의 농민봉기
- 물산 장려 운동
- 미소 공동 위원회
- 미소 군정
- 민립대학설립운동
- 민무구의_옥
- 민수_사옥
- 민족개조론
- 민족유일당운동
- 민족자결주의
- 민족자주연맹
- 민족 말살 정책
- 민주공화당
- 민주주의민족전선
- 민진용의 옥
- 밀양민란
- 밀직사
- 박문국
- 박응성 역모사건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박홍구 역모사건
- 반계수록
-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
- 반전도감
- 발췌 개헌안
- 발해당 등주 전투(732)
- 발해와 신라의 쟁장사건(897)
- 발해의 상경 천도
- 발해 건국(698)
- 발해 멸망
- 방곡령
- 배불 정책
- 배재학당
- 백두산 정계비
- 백련사
- 백백교 사건
- 백운동 서원 설립
- 백적의 난
- 백정
- 백제부흥운동 백강구 전투(663)
- 백제부흥운동(660)
- 백제신라 관산성 전투(554)
- 백제신라 대야성 전투(642)
- 백제신라 황산벌 전투(660)
- 백제의 사비 천도(538)
- 백제의 서기 편찬(346~375)
- 백제의 웅진 천도
- 백제의 하남위례성 천도(기원전5)
- 백제 건국(기원전18)
- 백제 멸망(660)
- 백제 22부
- 법상종
- 벽제관전투
- 벽파
- 별건곤 발간
- 별기군
- 별기위 설치
- 별무반
- 병부
- 병신처분
- 병오박해
- 병인박해
- 병인양요
- 병자호란
- 병호시비
- 보광학교
- 보문각
- 보부상
- 보성사
- 보성중학교
- 보성청년동맹
- 보안회
- 보은 집회
- 보천교
- 보천보 전투
- 복주천도
- 봉산 향전의 발생
- 봉오동 전투
- 부곡
- 부마 민주화 항쟁
- 부민단
- 부산진전투(釜山鎭戰鬪)
- 부산포해전(釜山浦海戰)
- 부안 농민봉기
- 북로 군정서
- 북벌론
- 북인
-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 북청 농민봉기
- 북풍회
- 북학의
- 북학파
- 북한산성 수축
- 불이서선농장 소작쟁의
- 붕당
- 브나로드 운동
- 비변사
- 비변사철폐
- 비연시사
- 비인현왜구사건(庇仁縣倭寇事件)
- 사가독서
- 사간원
- 사고의 건립
- 사노비
- 사단칠정논쟁
- 사대교린
- 사도세자 사건
- 사량진왜변
- 사림원
- 사림파
- 사문논쟁
- 사사오입 개헌
- 사상(私商)
- 사신
- 사심관제도시행
- 사역원
- 사육신
- 사재감 복설
- 사찰령 실시
- 사창제 실시
- 사천해전(泗川海戰)
- 사학12도
- 사헌대
- 사헌부
- 산당
- 산미증식계획
- 산송
- 산조(散調)
- 살수대첩(612)
- 삼강행실도
- 삼국간섭
- 삼국사기편찬
- 삼대모역사건
- 삼례 집회
- 삼별초
- 삼별초의 대몽항쟁
- 삼사
- 삼정문란
- 삼정의 문란
- 삼정이정청
- 삼조계서 반포
- 삼학사 순절
- 상무사
- 상서성
- 상정고금예문
- 상주산성전투
- 상주 농민봉기
- 상평창
- 상평통보
- 상피제도시행
- 상하이 사변
- 서경 천도 운동
- 서로군정서
- 서리
- 서명완 고변사건
- 서방
- 서북청년회
- 서북 학회
- 서얼
- 서얼 통청 운동
- 서우학회
- 서원시사
- 서원철폐
- 서전서숙
- 서학
- 서학(西學)의 옥
- 선기옥형 제작
- 선무군관제 시행
- 선산 농민봉기
- 선혜청
- 성균관
- 성리학의전래
- 세도정치
- 소론
- 소북
- 소현세자 죽음
- 속오군
- 솔거노비
- 송금의 실시
- 수렴청정
- 수선사
- 수신사 파견
- 수양동우회
- 수어청
- 숙명여학교
- 숙위소 설치
- 순군부
- 순주귀화소의난
- 순천 농민봉기
- 숭실학교
- 숭의여학교
- 스티븐스 저격사건
- 승과 실시
- 승록사
- 승정원
- 시대일보
- 시무 28조
- 시사(詩社)
- 시위부
-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 시정전시과시행
- 시조
- 시중회
- 시천교
- 시파
- 시헌력 채택
- 식목도감
- 식민 사관
- 신간회
- 신간회 운동
- 신라당 기벌포 전투(676)
- 신라당 매소성 전투
- 신라당 전쟁(670~676)
- 신라의 당군 원조(661, 662)
- 신라의 불교 공인
-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553)
- 신라 건국(기원전57)
- 신라 멸망(935)
- 신라 6부
- 신문고_설치
- 신미양요
- 신민당
- 신민부
- 신민회
- 신사무옥
- 신사상 연구회
- 신사위정척사운동
- 신사 참배 강요
- 신생의 옥
- 신서파
- 신유박해
- 신임사화
- 신진사대부
- 신축환국
- 신한공사
- 신한독립당
- 신한민보
- 신한청년당
- 신해박해
- 신해통공
- 신흥 무관 학교(신흥 강습소)
- 실력양성운동
- 실학
- 심기원 역모사건
- 심하전투
- 쌍성보 전투
- 쌍성총관부
- 쌍성총관부 수복
- 쓰시마섬 토벌
- 아관파천
- 아나키스트 운동
- 아웅산 사건
- 안경공 추대사건
- 안무고려군민총관부
- 안악사건
- 안용복 사건
- 암태도 소작 쟁의
- 암행어사
- 압해도전투
- 애국동지대표대회
- 애국반
- 애국 계몽 운동
- 양경홍 역모사건
- 양명학
- 양반
- 양수척
- 양인
- 양재역벽서사건
- 양전의 실시
- 양제해의_모반
- 양현고
- 어룡성
- 어사대
- 어영청
- 어영청 설치
- 여순 사건
- 여자 정신대
- 여진
- 여진 정벌
- 역관
- 역분전
- 연개소문 정변
- 연안대첩
- 연초전매령
- 연행사
- 영국과의 수호조약
- 영남학파
- 영남 만인소
- 영선사 파견
- 영업전
- 영장제 실시
- 영정법
- 예문관
- 예송
- 오가작통법의 실시
- 오군영
- 오복제도시행
- 오부학당
- 오산학교
- 오위
- 오페르트 도굴 사건
- 옥계시사
- 완론 탕평파
- 왕규의 난
- 왜관 건립
- 왜구
- 요동정벌
- 용골산성 전투
- 우금의 실시
- 우금치 전투
- 우방전의 난
- 우정총국
- 운요호 사건
- 웅진도독부
- 원봉성
- 원불교
- 원산학사
- 원산 총파업
- 위화도 회군
- 위화부
- 유교진흥회
- 유득겸 역모사건
- 유신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