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리(鄕吏)를 규찰하고 향풍(鄕風)을 바로잡기 위하여 조직된 자치기구. 그 시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고려시대의 사심관제(事審官制)를 모방해 고려 말과 조선 초 지방 군·현의 유력인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기에 향리 신분으로서 군공(軍功)으로 첨설직(添設職)을 얻거나, 조선 건국과 더불어 중앙관계에 진출해 관원이 된 자들은 중앙에 머무를 필요성이 없어졌을 때 향촌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들은 유향품관(留鄕品官)으로서 아직도 향리 신분에서 벗어나지 못한 부류와 자신을 구분하려 하였다. 그리고 예전처럼 계속 향촌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면 그들 자신이 중심이 된 기구를 만들어야 하였다. 이것이 바로 유향소이다.

유향소